2025년 3월 4주차 국제유가 동향 요약

국제 원유·석유제품 가격 상승 배경과 시장 흐름 분석

한국석유공사 스마트데이터센터가 발표한 2025년 3월 4주차 주간 국제유가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유가와 싱가포르 석유제품 가격 모두 전주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원인은 미국의 對베네수엘라 제재, 미국 원유 재고 감소, 그리고 일부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 가능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습니다.




국제유가 추이: 전반적 상승세

이번 주 Brent, WTI, Dubai, Oman 등 주요 국제유가는 전주 대비 평균 1.6~2.1달러 상승했습니다. 특히 Brent유는 배럴당 73.46달러, WTI는 69.42달러를 기록하며 견조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표 1] 주간 국제유가 추이 (단위: $/bbl)

[그래프] 일일 국제유가 추이





유가 상승 요인 분석

수급 요인

미국이 베네수엘라 석유 수입국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하면서, 베네수엘라의 석유 생산이 최대 40만 배럴/일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한편, 미국 원유 재고가 334만 배럴 감소하며 작년 12월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한 것도 상승 요인 중 하나입니다. 

지정학 리스크 완화 가능성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흑해 상 교전 중단에 합의했다는 백악관 발표로, 향후 대러 제재 완화 기대가 커졌지만, EU의 부정적 반응으로 불확실성은 여전합니다. 

국제 금융 불안정성

미국의 전 수입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예고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며 유가 상승 폭은 일부 제한되었습니다.




싱가포르 석유제품 시장: 제품별로 모두 상승

싱가포르 현물 시장에서도 휘발유, 등유, 경유 등 석유제품 가격이 모두 상승했습니다.

[표 2] 싱가포르 석유제품 가격 추이 (단위: $/bbl)


[그래프] 싱가포르 석유제품 가격 일일 추이





석유제품 재고: 경질 감소, 중질 증가

3월 26일 기준으로 싱가포르 경질제품 재고는 감소, 중간유분과 중질제품 재고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 3] 싱가포르 석유제품 재고 추이 (단위: 천 배럴)





결론: 유가는 단기적으로 오름세, 지정학 변수 주목

이번 주 유가 상승은 공급 감소 우려가 주요 요인이었으며, 향후에도 지정학적 협상 진전 여부와 미국의 무역 정책 변화가 국제 유가 흐름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석유제품 가격 및 재고 변화도 수요 흐름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