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재생에너지 통합관제부터 수소경제 국제 협력, 산업단지 스마트 전환,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까지 다방면에서 에너지 혁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최근 정부가 발표한 주요 내용을 간략히 정리한 것입니다.
1. 6월까지 전력망 실시간 통합관제 완비
한국전력공사와 전력거래소 등 전력망 운영기관들은 2025년 6월부터 개별적으로 관리하던 전력망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운영할 예정입니다. 이는 기상에 따라 출력이 변동하는 비중앙 발전기의 비율이 전체의 22.3%에 이를 정도로 높아진 상황에서, 재생에너지 관제의 정확성과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조치입니다. 산업부는 이를 통해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과 신재생에너지 확대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2. 한-일 수소경제 공조 강화
2024년 3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2회 한-일 수소협력 대화’에서는 청정수소 공급망, 탄소집약도 인증, 국제표준, 수소안전 등 네 가지 분야에서 양국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민간과 정부가 함께 참여하는 플랫폼 구축과 수소 기술의 국제적 표준화 노력도 포함되었으며, 양국은 글로벌 수소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속적인 협력을 약속했습니다.3. 전주일반산단,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재도약
산업부는 전주 산업단지를 스마트그린산단으로 전환하기 위한 사업단을 출범시키고, 2027년까지 총 288억 원을 투입해 디지털 전환과 저탄소 인프라 구축을 추진합니다. 제지와 화학섬유 등 기존 산업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고, 탄소·수소·드론 등의 신산업 육성을 병행하며, 정주 여건 개선과 인력 양성도 함께 이루어질 예정입니다.4. 기후클럽 제3차 총회, 탄소규제 국제협력 논의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기후클럽 제3차 총회에 참석한 한국 정부는 산업 탈탄소화를 위한 국제 기준 정립, 저탄소 철강 표준 도입, 개도국과의 협력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한국은 G7을 포함한 46개국과 함께 기후클럽 운영위원국으로 활동 중이며, 이 자리에서 자국 산업의 의견을 반영해 탄소중립과 무역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도모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Tags:
policy